반응형
Blender는 오픈소스 3D 그래픽 소프트웨어로, 모델링, 애니메이션, 렌더링, VFX, 게임 디자인, 3D 프린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. 강력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, 전 세계적으로 많은 아티스트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
Blender의 기본적인 조작법을 익히는 것은 중요하며, 특히 3D 공간에서의 작업에 익숙해지는 것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. 이 글에서는 Blender의 기본 조작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.
1. Blender 인터페이스 이해하기
Blender의 인터페이스는 3D Viewport, 툴바, 속성 패널, 타임라인, 아웃라이너 등으로 구성됩니다.
- 3D Viewport: 3D 모델을 직접 보고 편집하는 화면입니다.
- 툴바: 왼쪽에 위치하며, 객체 선택, 변형, 편집 도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도구를 제공합니다.
- 속성 패널: 오른쪽에 위치하며, 객체의 속성(위치, 회전, 크기 등)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아웃라이너: 모든 씬에 있는 객체들을 계층적으로 볼 수 있는 패널입니다.
- 타임라인: 애니메이션 작업을 위한 시간 흐름을 설정하는 패널입니다.
2. 기본 뷰포트 조작법
(1) 화면 회전, 이동, 확대/축소
- 화면 회전: 마우스의 중앙 버튼(휠 버튼)을 눌러서 드래그합니다. (마우스를 움직여 3D 공간을 회전)
- 화면 이동: Shift + 중앙 버튼을 눌러서 화면을 이동시킵니다.
- 화면 확대/축소: 마우스 휠을 위로/아래로 스크롤하여 확대 및 축소합니다.
(2) 뷰 전환 단축키
- 정면 보기: 1 (Numpad) → 정면으로 보기
- 측면 보기: 3 (Numpad) → 측면으로 보기
- 위쪽 보기: 7 (Numpad) → 위쪽으로 보기
- 카메라 보기: 0 (Numpad) → 카메라의 시점을 확인
(3) 뷰 전환
- 상/하/좌/우 방향 전환: 마우스 휠 클릭 + 드래그로 쉽게 뷰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.
3. 객체 선택과 조작
(1) 객체 선택
- 선택: 객체를 왼쪽 클릭하여 선택합니다.
- 다중 선택: Shift 키를 누른 채로 여러 개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전체 선택: A를 눌러 모든 객체를 선택합니다. (A를 한 번 더 누르면 선택을 해제합니다)
(2) 객체 이동, 회전, 크기 조정
- 이동: G를 눌러 객체를 이동합니다. 그 후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킵니다.
- 축 제한: X, Y, Z 키를 눌러 이동을 해당 축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.
- 회전: R을 눌러 객체를 회전시킵니다.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회전시킵니다.
- 축 제한: X, Y, Z 키를 눌러 회전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.
- 크기 조정: S를 눌러 객체를 크기 조정합니다.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크기를 변경합니다.
- 축 제한: X, Y, Z 키를 눌러 크기 조정 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.
(3) 객체 복사 및 삭제
- 복사: Shift + D를 눌러 객체를 복사합니다. 복사 후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에 배치합니다.
- 삭제: X 또는 Delete를 눌러 선택한 객체를 삭제합니다.
4. 3D 모델링 기본
(1) 편집 모드 (Edit Mode)
모델을 세부적으로 편집할 때는 **편집 모드(Edit Mode)**로 전환해야 합니다. 객체를 선택하고 Tab 키를 눌러 편집 모드로 들어갑니다.
- 버텍스(Vertex), 엣지(Edge), 페이스(Face) 선택: 1, 2, 3 키를 눌러 각각 버텍스, 엣지, 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선택 도구: B를 눌러 드래그하여 영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기본 조작: G(이동), R(회전), S(크기 조정)는 편집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됩니다.
(2) 스컬프팅 모드 (Sculpt Mode)
스컬프팅을 통해 더욱 디테일한 조각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
- Ctrl + Tab을 눌러 Sculpt Mode로 전환하고, 브러시를 선택하여 조각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
- 브러시 크기 조절: F를 눌러 브러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.
5. 쉐이딩과 재질 설정
(1) 쉐이딩 모드
- Solid 모드: Z를 눌러 Solid 모드(실시간 텍스처를 보기 전에 모델을 볼 수 있는 모드)로 전환합니다.
- Wireframe 모드: Shift + Z를 눌러 Wireframe 모드로 전환하여 메쉬의 선 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.
- Rendered 모드: Z를 눌러 Rendered 모드로 전환하여 최종 렌더링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(2) 재질 설정
- 속성 패널에서 Material 탭을 선택하고, 새로운 **재질(Material)**을 추가하여 모델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
- 텍스처나 색상을 변경하여 모델을 더욱 사실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.
6. 카메라와 렌더링
(1) 카메라 설정
- 카메라 추가: Shift + A를 눌러 **카메라(Camera)**를 추가합니다.
- 카메라 보기: 0 (Numpad)를 눌러 카메라 시점으로 전환합니다.
- 카메라 위치 조정: 카메라 선택 후 G(이동), R(회전)으로 카메라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합니다.
(2) 렌더링
- 렌더링 시작: F12를 눌러 렌더링을 시작합니다.
- 렌더링 설정: Properties 창에서 Render 탭을 클릭하여 해상도, 샘플 수, 출력 형식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7. 애니메이션 기본
(1) 키프레임 추가
- 키프레임 추가: I를 눌러 위치, 회전, 크기 등의 속성에 키프레임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- 타임라인: 아래쪽 타임라인에서 애니메이션을 시간에 맞게 조정합니다.
(2) 애니메이션 재생
- 재생: Spacebar를 눌러 애니메이션을 재생하거나 일시 정지합니다.
8. 단축키
- 이동 (Move): G
- 회전 (Rotate): R
- 크기 조정 (Scale): S
- 편집 모드 전환: Tab
- 브러시 크기 조절: F
- 전체 선택: A
- 선택 해제: Alt + A
- 복사: Shift + D
- 삭제: X 또는 Delete
- 뷰 전환: Numpad 1, 3, 7 (정면, 측면, 위쪽 보기)
- 렌더링: F12
결론
Blender는 매우 다재다능한 3D 툴로, **기본
반응형
'3D TO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🏗️ 3ds Max 기본 조작법 완벽 가이드 | 입문자를 위한 핵심 정리 (0) | 2025.05.29 |
---|---|
🎨 Maya 기초 사용법 완전정복! | 3D 툴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(0) | 2025.05.28 |
3D 툴들의 소개: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(0) | 2025.05.28 |
ZBrush 기본 조작법 (0) | 2025.05.28 |